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취학 전 아동을 위한 경제교육 - 부모의 역할과 연령별 교육법
    궁금한 이야기/경제 2025. 4. 10. 19:11
    728x90
    반응형



     경제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취학 전 아동에게 경제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도와주면, 이후 올바른 소비 습관과 금융 이해력을 갖춘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죠.
    그래서인지, 많은 부모가 '어린아이에게 경제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라는 고민을 합니다. 제 주변 친구들도 그렇고 말이죠.
    하지만 내 아이의 나이 혹은 수준에,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알려줘야 이 아이가 이해를 할 수 있는지 막막하다고들 하는데요.
    그래서 연령별 경제교육 방법과 부모의 역할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봤습니다.


     

    <연령별 어린이 경제교육 방법>



    (1)만 3~5세: 기본 개념 형성하기


    이 시기의 아이들은 숫자와 개념을 익히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경제교육의 기초가 되는 개념을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자면...


    ◆ 돈의 개념 이해
      : 장난감 지폐나 동전을 이용해 ‘돈은 물건을 사는 데 필요하다’는 개념을 익히게 합니다.


    선택과 우선순위
      : “이 과자와 저 과자 중 하나만 살 수 있어” 같은 상황을 제시해 선택의 중요성을 가르칩니다.


    역할놀이
      : 마트 놀이, 가게 놀이 등을 통해 돈을 주고받는 경험을 하게 합니다.
     아직 돈 계산이나 수의 개념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위에서 언급한 돈의 개념을 이해하는 부분이나
    선택과 우선순위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죠.

     

    반응형



    (2)만 6~7세: 소비 습관 기르기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숫자를 더 잘 이해하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그러므로 더욱 적극적으로 아이에게 여러 경험들을 시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도 의외로 빠르게 받아들인답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용돈 개념 익히기
     : 소액의 용돈을 주고, 원하는 것을 사보도록 유도합니다. 그리고 왜 그걸 샀는지 물어보면서 선택과 우선순위에 대한 개념도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갈 수 있죠.


    축의 중요성 배우기
     : 투명한 저금통을 사용해 돈이 모이는 과정을 직접 보게 합니다. 
     저금을 하면 돈이 모였다가 물건을 사면 돈이 줄어든다는 개념을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눈으로 직접 보는 것이, 아이들도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광고와 소비 이해하기
     : TV나 유튜브 광고를 함께 보면서 “이 광고는 우리에게 이 물건을 사고 싶게 만들려고 해”라고 설명해 줍니다.
     광고 등에 나오는 물건들을 무작위로 사는 것이 아닌, 나에게 정말 필요한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죠.



    728x90

    <부모의 역할>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부모는 아이들의 경제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가 돈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모들은 어떤 역할을 하면 좋을까요?


    (1) 모범 보이기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웁니다. 부모가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이를 따르게 되죠.

    예를 들어, 마트에 가기 전 “이번 달 예산이 있으니까 꼭 필요한 것만 사자”라고 먼저 일러두고,
    반드시 사야 할 물건들의 리스트를 만들어서 장을 보러 가면 계획적인 소비 태도를 보여줄 수 있겠죠?
    언제나 부모의 모습과 행동을 보고 배우는 아이들도 마찬가지로 계획적인 소비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2) 질문을 통한 대화 나누기

     아이가 물건을 사고 싶어 할 때, “왜 이 물건이 필요하니?” “네가 가지고 있는 것과 어떻게 다르니?” 같은 질문을 던지면 아이가 생각할 겁니다. 내가 왜 이 물건을 사야 하는지... 즉, 소비 결정을 신중하게 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3) 경제 개념을 놀이와 일상에서 접하게 하기

     위에서도 소개했듯, 돈과 경제 개념은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아니 아이들 수준에서는 가장 좋은 개념 익히기 방법이죠.

    예를 들어, 집에서 마트 놀이를 하면서 가격표를 만들고, 예산을 정해 장을 보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덧셈 뺄셈을 하지 못하는 어린아이들도, 의외로 재밌어하고 잘 따라온답니다.

     



     취학 전 아동에게 경제 개념을 가르치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아이들의 연령과 발달 단계에 맞춰 놀이와 일상 속에서 경제 개념을 자연스럽게 접하도록 도와주면 됩니다.

    사실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 입장에서는 답답하고, 아이를 계속 상대해야 하는 것에 피곤하고 부담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취학 전에 기초적인 경제 개념을 잡아두면, 그렇게 하지 않은 또래들보다 더 일찍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겠죠?

    또한, 부모가 올바른 경제 습관을 보이며 아이와 지속적으로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쌓이면 아이는 건강한 경제 마인드를 가진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bukae.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