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을 더 맛있게 짓는 방법 (준비물 : 얼음) / 냄비밥 물 양, 물조절궁금한 이야기/요리 2024. 12. 14. 23:21728x90반응형
밥을 더 맛있게 짓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전기밥솥을 사용하여 밥을 짓고 계실 텐데요.
그냥 쌀을 씻어 눈금에 물 양을 맞추는 것보다,
밥을 더 맛있게 짓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제목에서 이미 눈치채셨을 것 같지만…
바로 마지막에 얼음 10개 정도를 넣는 것입니다.
사실 저도 지인한테 들은 이야기라, 처음엔 반신반의했었는데요.
마지막에 넣는 10개의 얼음이 어떻게 밥의 맛을 향상시키는지, 그 원리에 대해 같이 알아보시죠.
모두들 아시다시피,
전기밥솥의 기본 원리는 쌀과 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열을 가해 밥을 짓는 것입니다.
이때 쌀의 전분이 물과 만나면서 젖어들고, 열을 받으면서 부풀어 오릅니다.
이 과정에서 쌀의 맛과 향이 극대화되는데요.
여기에 얼음을 추가하면, 밥의 질감과 맛이 더욱 좋아지는 것이 사실이라고 합니다.
어차피 열을 가하면 녹을 텐데,
얼음이 밥 짓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걸까요?반응형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차가운 물은
밥솥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로 인해 쌀이 고르게 익고,
밥의 수분이 적절하게 유지됩니다.
결과적으로 밥이 더욱 촉촉하고 맛있게 완성되는 것이죠.
밥을 짓기 전 준비 과정도 중요합니다.
먼저 쌀을 깨끗이 씻어야 하겠죠?
쌀에 묻은 불순물과 전분을 제거하면
밥의 맛이 한층 더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씻은 쌀은 30분 정도 불려주면 좋습니다.
이때 물의 양은 쌀의 양과 동일하게 맞춰주면 됩니다.
(쌀 1 : 물 1)
밥 짓는 과정에서 몇 가지 팁을 드리자면,
전기밥솥의 물 조절이 중요합니다.
쌀의 종류나 양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해야
밥이 너무 질거나 마르지 않게 되니까요.
1 대 1 비율이 가장 이상적이니, 기억해 둡시다. ㅎㅎ
또한, 밥이 다 지어진 후에는
10분 정도 뜸을 들여주면 더욱 맛있습니다.
마무리로, 얼음을 넣는 것 외에도
맛있는 밥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쌀을 불릴 때
소금을 약간 넣으면 밥의 맛이 더욱 깊어진다고 합니다.
특히 저는, 검은 콩밥을 할 때 소금을 조금 넣는데
콩이 더 달게 느껴지고 더 맛있더라고요.
진짜 추천합니다! ㅎㅎ
또한, 쌀의 종류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위에서, 쌀과 물을 일대일 비율로 맞추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했는데요.
현미나 잡곡밥은 물을 조금 더 많이 넣어야 부드러운 밥이 된답니다.728x90
전기밥솥은 보통 밥솥 안 쪽에 눈금이 있어서
물의 양을 맞추기 쉽죠.
냄비밥도 쌀과 물의 양은 같습니다. 일대일 비율이요!
물이 많으면 죽이 되겠죠?
(이유식이나 죽을 만들 땐 실제로 쌀 1 대 물 5~10 정도로 만듭니다. 저는 말이죠..)
다시 정리해 보자면,
밥을 할 때 얼음을 10개 정도 넣어주면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밥의 수분을 조절하고,
고온의 스팀이 밥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 밥이 더 맛있게 느껴지게 됩니다.
즉, 밥통 안에서 얼음이 하는 역할은▼
수분 조절 : 얼음이 녹으면서 수분을 추가로 공급하여 밥이 너무 마르지 않게 해줌
온도 조절 : 얼음이 들어가면 밥솥 내부의 온도가 잠시 낮아지며, 이는 밥이 고르게 익도록 함
식감 개선 : 스팀이 밥알 사이에 스며들어 밥이 더욱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이 됨
다만, 얼음을 너무 많이 넣으면 오히려 밥이 질척해질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시죠? ㅎㅎ반응형'궁금한 이야기 >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액 만드는 법, 매실액의 효능 / 매실액 대신 이것! 매실액 대체제 (1) 2024.12.27 콜리플라워와 브로콜리 / 특징 및 효능, 영양 성분 등 (1) 2024.12.25 냉동 보관하면 안 되는 식재료 5가지 / 올바른 보관 방법! (0) 2024.12.24